Vision
Education
기업의뢰
행사
History
PinkLAB
/
수업내에서 진행된 프로젝트
Contents
수강생프로젝트
PinkLAB
/
수업내에서 진행된 프로젝트
Duplicate
Share
Vision
Education
Contents
수강생프로젝트
기업의뢰
행사
History
수업내에서 진행된 프로젝트
핑크랩은 다양한 기관의 요청에 따라 교육을 진행합니다. 그러나 대부분 최선을 다해 수강생들이 스스로 프로젝트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그래서 핑크랩의 교육은 수강생들이 스스로 프로젝트를 할 때 적절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또한 노력하고 있습니다. 지금 이 페이지에서 그 프로젝트 중 일부를 구경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 소개하는 프로젝트들은 수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프로젝트로 기업 프로젝트와는 구별이 됩니다.
수강생이 수업내에서 진행한 자체 프로젝트 일부 소개
EDA
주변 맛집을 정보 크롤링 정리 및 SLACK API를 활용한 추천
[수강생 EDA 프로젝트 소개] 주변 맛집 데이터를 이용해서 슬랙으로 추천하기
이번에 소개해드릴 수강생 프로젝트는 주변 맛집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리한 후 맛집을 추천하려는 프로젝트입니다. 이 팀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슬랙에 직접 서비스를 구현하려 노력했습니다. 이 팀은 원래 AI 로봇 과정의 수강생들로 이 프로젝트를 시작한 시점은 수업이 시작된지 대략 6주 정도가 지났을 때입니다. 파이썬 기초부터 시작한 인원들도 있었는데 여기까지 온것이죠. 이런 색감 좋네요^^ 아무튼 목적은 데이터 분석을 통해 맛집 데이터를 수집 정리하고 사용자에게 정리된 결과를 서비스로 제공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결과를 보시면 알겠지만 "데이터 분석"과 "서비스"를 모두 목표로 한 훌륭한 팀입니다. 일단 다양한 메뉴~ 가게~ 맛집 선정 기준을 거리와 평점, 리뷰수, 가격등으로 생각을 하는 ..
머신러닝 / 딥러닝
행동 인지 예측 모델을 이용한 불량 제품 검수 모델 개발
[수강생 프로젝트 소개] 행동 인지 예측 모델을 이용한 불량 제품 검수 모델 개발
안녕하세요. 이번에도 제가 제로베이스 데이터사이언스 스쿨에서 수업을 진행한 팀의 업적(?)을 도 하나 소개하려고 합니다. 이번 팀은 작업의 절차를 인식하려고 노력한 팀입니다. 물건을 놓아라, 돌려라 등의 행동을 인식해서 모델이 작업자가 가이드에 맞춰 잘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지 그리고 대상 물건은 정상인지 등을 확인하는 모델을 만들려는 것입니다. 먼저 인지해야하는 행동 등을 정의를 내렸습니다. 그리고 불량 제품도 선정하구요. 이번 팀은 YOLO로 물체 인식, 미디어파이프로 Pose 인식, 그리고 인식된 pose를 이용해서 행동을 인식하는 것은 LSTM을 사용했습니다. 여러 상황을 조금 가정하고 진행을 했습니다. 단순한 행동이긴 하지만, "돌려라"의 행동을 인식하는 것은 단순히 한 장의 사진으로 되는 것이 ..
캠핑장 추천
많고 많은 캠핑장. 딱 나에게 맞는 캠핑장 추천해 드립니다.
이 글은 2021년 봄부터 이른 여름까지 수업을 한 패스트캠퍼스 성수 스쿨(지금은 스노우볼)에서 수업한 데이터사이언스 스쿨 17기의 프로젝트 중 하나를 소개하는 글입니다. 부족한 강사를 만나 더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었지만 그러지 못한 것이 미안할 따름입니다. 이번에는 요즘 관심들이 많은 캠핑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제가 수업을 한 팀중에 한 팀인데 이분들의 관심이 여러 경로를 지나다가 알고캠핑(Algo Camping)이라는 이름으로 정착을 했습니다.^^.
쇼핑몰 리뷰 데이터 평가 모델 개발
[수강생 프로젝트 소개] 리뷰 분석 및 리뷰 가치 평가
이번에 소개해 드릴 프로젝트는 제가 전임강사로 있는 제로베이스의 한 수강생들의 프로젝트입니다. 제로베이스의 수업은 저와 본격적으로 만나게 되는 프로젝트 단계까지 도착하시는 분들이 여러 사정으로 비율로는 낮게 오시는데요. 그 일련의 과정을 버티고 버텨서 도착하신 분들이라 꽤 수준 높은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가 많습니다. 이번에 소개해드릴 팀도 재미있는 프로젝트를 멋지게 수행한 팀 중 한 팀입니다. 개요 제목을 귀여운 공격적 스타일(^?^)로 잘 뽑은 것 같습니다. 그러나 제목에서 하고자 하는 일이 바로 들어나죠. 쇼핑몰의 상품에 달린 리뷰의 사진이 올바르게 찍혔냐는 부분을 검증하는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네 위 그림에서 보여주듯이, 좋은 리뷰에게 좋은 보상을 하도록 해서 리뷰 시스템을 건전하게 만들겠다는 것..
영상으로 운동 자세를 인식하는 홈트레이닝 앱 개발
[수강생 프로젝트 소개] 딥러닝을 활용한 홈트앱~
이번에 소개해 드릴 저희 수업 수강생 프로젝트는 홈트앱입니다. 이제 딥러닝 등 기초를 배운지 겨~우 4개월인데 이정도 성장을 보여서 너~무 좋네요. 일단 이번 팀은 영상으로 운동중이 사람의 자세를 보고 운동을 인지해서 올바른 자세로 운동하는 경우를 확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진에 찍힌 물건의 가격 예측
[수강생 프로젝트 소개] 물건 사진으로 물건값을 계산하는 앱
이번에 소개하는 영상은 배운지 약 3~4개월 된 친구들의 발표 영상으로 사진에 나타난 상품을 보고 가격을 계산하는 앱입니다. 상품마다 여러 이벤트가 있으니 실제 계산 정확도를 확인하려는 것이라기 보다는 바코드 없이 물건의 값을 예상해 보는 목적일 수 있구요. 더 중요한건, SQL, Deep Learning 등을 배운 친구들이 이렇게 멋진 결과물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이죠^^ 이 팀은 개개인의 진도와 팀의 진도를 잘 관리하면서 진행했던것 같습니다. SQL을 수업한 보람이 있네요^^ 아참 저희 커리큘럼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s://www.pinklab.art/airobot_edu AI 로봇 교육 컨텐츠 이 페이지는 PinkLAB 핑크랩이 진행하는 AI + 로봇 교육 컨텐츠에 대한 상세 페이지입니다...
X-Ray 데이터를 이용한 바이러스성 폐렴 검출
패스트캠퍼스 DS 스쿨 14기 X-Ray 사진을 이용한 바이러스성 페렴 구분 프로젝트 소개
이미 많은 글들 속에서 저는 패스트캠퍼스라는 기관에서 데이터사이언스 관련 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패스트캠퍼스는 기수로 구분을 하고 있는데요. 최근 저는 14기 분들의 수업 중 진행한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도 재미있는 프로젝트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2012년으로 저는 기억하는데요. 그 때 저는 한 회사의 연구소장이었습니다. 그 때 처음 인사를 했던 한 회사가 있었는데요.
마키아밸리즘 성향 분석 데이터를 이용한 투표 참여 예측
패스트캠퍼스 DS 스쿨 14기 마키아벨리즘 성향 분석을 통한 투표 참여 예측 프로젝트 소개
얼마전에 패스트캠퍼스의 데이터사이언스 스쿨의 14기 분들의 작품 중에서 쏘카의 보험사기 데이터 분석이라는 프로젝트를 소개했었는데요. 이번에는 역시 같은 기수인 14기 분들 중 또 다른 팀이 수행한 한 프로젝트를 소개하려고 합니다.바로 마키아벨리즘 성향 테스트 결과를 기반으로 투표 참여 여부를 예측해 보겠다는 다소 긴 이름의 프로젝트를 소개하려고 합니다.이 프로젝트는 마키아벨리즘 성향을 확인하는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머신러닝을 이용해서 투표 참여 여부를 예측해보려는 시도입니다.저는 개인적으로 마키아벨리를 좋아하는데요^^ 그건 제가 "나의 친구 마키아벨리"라는 책을 꽤 재미있게 읽은 경험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보험 사기 데이터 예측
패스트캠퍼스 DS 스쿨 14기 쏘카 보험사기 데이터 프로젝트 소개
얼마전에 실화탐사대라는 TV 프로를 보다가 "가피공모"라는 주제를 다룬 것을 보았습니다. 가피공모, 일명 뒷쿵은 보험 사기의 한 수법으로 가해자와 피해자가 공모하여 일부러 사고를 내고, 보험금을 타는 방식의 범죄입니다.이런 데이터를 다룬 프로젝트가 있어서 오늘은 이 팀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아시는 분은 아시지만, 저는 패스트캠퍼스에서 데이터 사이언스 분야에서 분석파트의 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투리 문장의 유사도 측정
pinkwink.kr
네이버 쇼핑몰 데이터 기반 감성 분석
[수강생 프로젝트 소개] 네이버 쇼핑몰 데이터 기반 감성 분석
아주 오래전부터 저는 제로베이스에서 딥러닝, 머신러닝 부분 전임강사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제로베이스의 수강생들은 중간 중간에 많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요. 요즘엔 제가 오프라인 수업이 많이 없고, 기존에 찍었던 온라인 수업 위주여서 수업 진행보다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수강생들과의 대화와 그들과 기업 사이의 연결에 대한 고민들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제로베이스 오프라인 수강생 22년 2월 10일
제로베이스 오프라인 수강생들의 머신러닝 딥러닝 작품 활동
최근 저는 제로베이스의 데이터사이언스 오프라인 스쿨반에서 머신러닝/딥러닝 부분을 수업을 진행했었는데요. 이 수업이 마지막에 몇 주간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요. 저는 이 수강생들의 프로젝트에도 깊숙히 관여를 보통 합니다. 이번 글에는 이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글을 적으려고 합니다. 딥러닝을 활용한 네트워크 이상 탐지 먼저 소개해 드릴 팀은 네트워크 이상 탐지를 딥러닝을 이용해서 수행하려는 팀입니다.
제로베이스 온라인 수강생 22년 2월 3일
제로베이스 온라인반 수강생들의 머신러닝 딥러닝 작품 활동
저는 제로베이스의 데이터사이언스 스쿨[https://zero-base.co.kr/event/school_DS]에서 머신러닝 딥러닝 강의를 하고 있는데요. 이 과정에서 온라인반 수강생들의 프로젝트 발표가 설직전에 있었습니다. 이 내용 중 일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많은 기간 동안 파이썬의 기초부터 머신러닝, 딥러닝, 그리고 알고리즘까지를 온라인으로 그 과정을 완료하신 분들인데요. 마지막 과정이 한 달 정도 오프라인으로 프로젝트를 완료하는 것입니다.
Deep Sort를 이용한 CCTV Tracking
YOLO와 Deep SORT를 이용한 CCTV Tracking
이 글은 2021년 봄부터 이른 여름까지 수업을 한 패스트캠퍼스 성수 스쿨(지금은 스노우볼)에서 수업한 데이터사이언스 스쿨 16기의 프로젝트 중 하나를 소개하는 글입니다. 부족한 강사를 만나 더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었지만 그러지 못한 것이 미안할 따름입니다. 지난번 드론 이야기에 이어 이번에는 CCTV Tracking 프로젝트를 소개할까 합니다. 이번 팀은 길거리의 사람들의 동선을 추적하는 일입니다.
패스트캠퍼스 DS 스쿨 15기
패스트캠퍼스 DS 스쿨 15기 딥러닝 프로젝트
저는 일주일의 많은 시간을 패스트캠퍼스에서 데이터사이언스 부분에서 활동을 하는데요. 요즘은 저 스스로 강의보다는 수강생들이 수행하는 프로젝트를 같이 고민하고 호흡하는 느낌을 많이 가지려고 합니다. 아무튼, 비록 배우는 레벨에서 또 막 시작하는 사람들의 레벨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다분이 높은 수준은 아닐 수 있지만, 패스트캠퍼스의 데이터사이언스 스쿨은 20 몇주간의 기간동안 무려 5~6개의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발표하고 평가를 받습니다.
패스트캠퍼스 DS 스쿨 14기
패스트캠퍼스 DS 스쿨 14기 CCTV 속 사람 추적하기
이 글이 들어가는 카테고리에 요즘 제가 한가지 주제로만 채우고 있네요. 바로 패스트캠퍼스의 데이터 사이언스 스쿨 수업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의 결과들을 소개하는 글입니다. 패스트캠퍼스에서 수강하는 수강생들은 5~6개월의 기간을 9 to 10으로 아니, 거의 낮밤없이 공부에 매진하고 있는데요. 그 과정에서 5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또한 수행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시작할떄만 해도 본인들의 역량 이상의 수준이지만, 이 과제를 진행하면서 많은 훈련이 됩니다.
ROBOT + IoT
자율주행 로봇 - 차선인식, 장애물회피, SLAM 알고리즘 개량
[수강생 프로젝트 소개] 자율주행 로봇 SW 개발 - 차선인식, 장애물 회피, SLAM, ROS2
최근 저는 정말 바쁜 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그 와중에 그래도 소개할 팀은 또 소개해야죠?^^ 이번에 소개할 팀의 결과물은 저에게 딥러닝과 ROS2 등의 수업을 시작한지 대략 5개월이 되던 시점에 시작한 프로젝트의 결과입니다. 처음에는 어미로봇이 아가로봇(^^)들을 데리고 실외를 주행한 다음 실내에서는 아가로봇들이 동작하는 컨셉이었습니다. 그러나 배우는 단계의 학생들이라 자금의 여력이 충분치 않아서 안타깝게도 많이 생략해야 했던 ... 슬픔이 있습니다. 그래도 저는 이 팀이 잘했다 싶은 것은 스스로 수행한 일들이 아래와 같기 때문입니다. 차선 인식을 하기 위한 segmentation 모델 학습 인식된 차선으로 로봇 기동하기 차선 위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회피 기동하기 ROS2 slam을 이용해서 맵빌딩하고..
스마트팜 - 방울토마토 수집 로봇
[수강생 프로젝트 소개] 스마트팜을 꿈꾸던 - 수확하는 사람들
교육, 특히 요즘 제가 자주 진행하는 부트캠프 형식의 6개월 미만 단기 과정에서는 여러 환경적 요소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시간도 부족하고, 팀원들도 모두 이런 프로젝트를 해보지 않았기도 하고 배운 내용을 아직 다 익히기도 짧은 기간이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로젝트 형 수업의 장점을 너무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또 포기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그럴때는 강의를 책임지는 제가 적극적으로 개입할 때도 있긴 하지만, 어디까지나 스스로 진행해야하기 때문에 제가 할 수 있는 일도 많이 제한적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상 이렇게 수강생의 성과를 소개할 때는 또 기분이 좋습니다. 이 친구들은 6개월 기간의 수업중 5개월차에 파이널 프로젝트에 돌입한 친구들입니다. 수강생들의 작명 센..
빔프로젝트 조명에 맞춰 자동으로 전등을 조작하는 IoT 스위치
[수강생 프로젝트 소개] 빔프로젝트의 동작에 따라 자동 전등 스위치 조작
최근 저는 로봇 관련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그 수업의 수강생들의 작품 활동을 하나씩 소개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빔프로젝트의 동작에 따라 형광등 전원 스위치를 조작하는 장치를 개발한 팀입니다. 매우 재미있는 제목을 걸고 있구요~ 뭐 아무튼 없어도 되지만, 직접 구현가능한 레벨에서 즐겁게 프로젝트를 하면서 실제 있으면 좋을 것 같은 주제를 선정하고 싶었다고 하네요.
날씨 적응형 스마트 홈
[수강생 프로젝트 소개] 날씨 적응형 스마트 홈
오늘은 날씨에 맞춰 환기도 하고, 옷도 추천해주고, 우산도 챙기라고 알려주는 스마트홈 시스템을 만들려고 노력한 제 수업을 들은 한 수강생 팀의 작품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이 수업을 듣고 있는 친구들은 AI 로봇 수업을 현재 듣고 있는 친구들입니다. 러시아 모스코바가 영하 5도일때 서울이 영하 20도를 찍는 기적(응?)의 날씨를 보여주는 지금 저 제목은 참 인상적입니다.
스마트 주차장
[수강생 프로젝트 소개] 스마트 주차장
저는 머신러닝 딥러닝 분야에서 자주 소개하는 제로베이스의 전임강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또 AI 로봇 분야에서 강의활동을 하고 있는 곳이 있는데요. 이 과정을 한 번 제 블로그에서도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https://pinkwink.kr/1396 AI와 로봇을 함께 배울 수 있는 꽤 괜찮은 수업을 핑크랩이 시작합니다. 저는 예전부터 제로베이스에서 데이터 사이언스 관련 과정을 수업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팩토리
[수강생 프로젝트 소개] 스마트 팩토리
지난번에 저는 제가 수업하는 AI 로봇 과정의 수강생들이 진행하는 프로젝트인 스마트 주차장을 구현하려고 노력한 팀의 프로젝트 결과를 들려드렸엇는데요. 이번에는 스마트 팩토리를 주제로 한 팀의 결과를 소개합니다. 지난번 팀과 함께 이 팀도 전체 6개읠의 AI 로봇 과정 중 데이터관련된 기초 과정을 마친 시점에서 IoT라고 부를 수 있는 개념을 공부하기 시작한건 겨우 4주 정도입니다.
드론을 이용한 포즈 인식
DJI 드론을 이용해서 사람인식 및 포즈인식하기 작품소개
이 글은 2021년 봄부터 이른 여름까지 수업을 한 패스트캠퍼스 성수 스쿨(지금은 스노우볼)에서 수업한 데이터사이언스 스쿨 16기의 프로젝트 중 하나를 소개하는 글입니다. 부족한 강사를 만나 더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었지만 그러지 못한 것이 미안할 따름입니다. 이번에는 제가 진행하는 수업의 수강생 중 한 팀이 시도한 프로젝트를 소개하려고 합니다.